수면무호흡증을 포함한 다양한 수면질환이 심혈관 질환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특히 고령층은 물론, 젊은 연령층에서도 수면 질 문제를 방치할 경우 합병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수면클리닉을 통한 조기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프랑스 파리 제5대학교 꼬샹병원 연구팀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OSA)과 고혈압, 심장질환 등 심혈관계 질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에 발표했습니다.
참고기사 :https://www.medicalreport.kr/news/articleView.html?idxno=117257
수면무호흡증, 고령층일수록 더 위험하다?
연구진은 65세 이상 고령 환자를 대상으로
정밀한 건강진단과 수면다원검사(PSG)를 진행한 결과,
고령 그룹에서 수면 중 산소포화도 저하와 수면의 질 저하가 심각하게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뿐만 아니라, 젊은 연령층에서도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와 고혈압 간의 연관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수면질환, 의외로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잠을 자도 피곤하거나,
낮 동안 졸음이 심하게 쏟아지는 증상,
또는 자려고 누웠을 때 도저히 잠이 오지 않는 등의 경험이 있다면
이미 수면질환이 진행되고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를 단순한 스트레스나 피로로 넘기고,
수면클리닉 진료를 받지 않아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면클리닉에서의 수면다원검사, 왜 중요한가요?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 는 수면 중
뇌파, 근전도, 심전도, 호흡, 산소포화도, 안구운동, 자세 등을 측정해
수면의 질과 수면 중 이상 증상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검사입니다.
이를 통해 진단할 수 있는 대표적인 수면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폐쇄성수면무호흡증
- 불면증
- 기면증
- 하지불안증후군
- 렘수면행동장애(RBD) 등
수면질환 방치 시, 예상보다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질환은 수면 중 호흡 정지와 산소 결핍을 반복적으로 유발하며
이는 곧 심장에 부담을 주고, 뇌혈류 이상, 혈압 상승, 심장질환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고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는 분들은
수면 중 무호흡 증상이 동반되는지를 꼭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수면클리닉 선택 시 꼭 확인해야 할 점
- 수면다원검사 가능 여부
- 야간 입원 검사 장비 보유
- 수면의학 분야 의료진 상주
- 맞춤형 치료 계획 제공
코슬립수면의원은?
대한수면의학회 부회장이자
코슬립수면의원 대표원장인 신홍범 박사는
"수면무호흡증을 포함한 수면질환은 단순한 수면 문제를 넘어서
뇌혈관, 심혈관계, 대사질환과 깊이 연결된 질환"이라며
"빠른 시기에 수면클리닉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수면의 질, 지금 확인해보세요
- 아침에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다
- 자주 깨거나, 숨이 막히는 느낌이 든다
- 낮에 졸림이 심해 업무나 학업에 방해가 된다
-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
위 증상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지금이 수면클리닉을 방문해야 할 시점일 수 있습니다.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https://www.youtube.com/@kosleep_tv
코슬립TV
코슬립수면의원은 2007년부터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양압기 치료, 불면증, 기면증, 하지불안증후군, 렘수면행동장애 등 수면장애만을 진료하는 수면클리닉입니다.
www.youtube.com
'뉴스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중 환자, 수면장애 평가 위한 ‘수면다원검사’ 꼭 필요한 이유 (0) | 2025.04.23 |
---|---|
수면무호흡증 치료하면 고혈압도 완화된다? (0) | 2025.04.23 |
위 절제하는 비만수술, ‘양압기’가 수술 후 합병증 줄인다 (0) | 2025.04.17 |
수면무호흡증, 암 발병률까지 높인다는 연구 결과 (0) | 2025.04.17 |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수술해도 절반은 재발합니다 (0) | 2025.04.12 |